Home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흥미롭고 재미있다. 한 편으로는 답답함과 뭔지 모를 미묘함을 자아내는 <너무 한낮의 연애>는 아련함까지 담아냈다. <KBS 드라마 스페셜 2018> 4번째 작품이 던지는 화두는 감정이다. 사랑이라는 감정이 어떻게 변하고 변할 수 없는지에 대한 담담한 시선이 매력인 드라마였다. 


사랑하죠 오늘도;

19년 만에 다시 만난 첫사랑, 그 먹먹함만 남긴 추억은 아름다웠을까?



대기업 사원인 필용(고준)은 성공적인 삶을 사는 듯했다. 승진도 할 것이라 예상했다. 그렇게 모든 것이 멋지게 이어질 것이란 생각과 달리, 필용의 삶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승진이 아니라 팀장에서 평사원이 되어 지하 시설관리부에 배치된 그는 퇴출 수순을 밟게 되었다. 

99DCBF385BBACB6832


한껏 들떴던 그는 갑작스러운 몰락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 그가 우연하게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 과거 잘 다니던 햄버거 집에 붙은 연극 포스터를 보는 순간 그게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있었다. 양희(최강희)가 학창시절부터 가지고 다니던 연극 대본에 적힌 제목이었기 때문이다.


양희를 다시 떠올린 것은 그의 처지가 궁색해졌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지난 19년 동안 잊고 지냈던 첫사랑이 한순간 들어오고 직접 보기 위해 찾아가는 행위는 그렇게 읽힐 수밖에 없는 이기심이니 말이다. 양희의 연극은 1인극이고 관객 참여극이다. 


기존 연극 문법을 완벽하게 파괴해버린 이 연극은 기묘할 수밖에 없다. 양희 앞에 한 사람이 앉는다. 그게 전부다. 양희의 눈을 바라보며 과거로 돌아가는 신기한 체험을 하게 되는 이 연극은 가장 순수했던 시절로 안내하는 연극이었다. 그런 양희를 위협하는 존재는 잘 나간다는 평론가였다. 


연극에 대한 제대로 된 평보다는 양희와 한 번 자는 것이 더 우선인 평론가의 노골적인 행위는 처량함을 더한다. 연극에 대한 몰이해에도 유능한 평론가로 알려진 자의 허상은 우리 일상에서도 너무 쉽게 발견되는 이중성이기도 하다. 매스미디어가 만들어내는 허상의 전문가들이 너무 많으니 말이다.


19년 전 양희는 말수도 없는 아이였다. 학교에서 그녀는 이상한 아이라고 여겨지는 존재였다. 화장도 하지 않았고 낡은 운동화에 티셔츠가 전부인 양희는 이성에게 관심을 받기 힘든 존재였다. 그래서 필용은 신기했다. 다른 아이와 너무 다른 양희가 사랑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그저 뭔지 모를 감정이 돋아났다. 


어학원에서 알게 되어 그렇게 연애라고 할 수 없는 만남을 이어가던 어느 날 양희는 필용에게 갑작스럽게 "사랑해요, 오늘은"이라는 고백을 한다. 항상 2천 원을 건네며 햄버거 데이트를 하던 날 받은 고백에 필용은 당황스러웠다. "선배, 좋아해요"도 아니다. 단순히 "사랑해요"도 아닌 '오늘은'이란 한시적 꼬리표가 붙은 사랑 고백이라니 그마저 기이했다. 

9993D7385BBACB6937


양희의 이 엉뚱함이 필용에게는 사랑이었다. "사랑하죠, 오늘도" 다음날 질문에 양희가 했던 답변이다. 그렇게 매일 확인해야만 하는 사랑도 균열은 시작된다. 너무 볼품없는 행색에 가까이 접근하기도 꺼려하던 양희와 사귄다는 사실이 알려지는 것이 싫었던 필용의 이기심은 양희에게는 큰 상처가 될 수밖에 없었다. 


친구 앞에서 자신을 숨기는 상대를 계속 사랑할 수는 없는 일이다. "나 안 해요. 사랑"이라는 양희의 고백에 당황하는 필용은 이유가 뭔지 궁금했다. "없어졌어요. 아예"라는 양희의 말에 사랑은 한 번에 사라지는 감정이 아니라 강변해 보지만 돌이킬 수는 없었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바라보는 필용과 양희는 너무 달랐다. 자신을 더는 사랑하지 않는단 말에 화가 난 필용은 한심한 속내를 드러내기에 여념이 없었다. 치졸함의 극치를 보인 필용의 민낯은 더는 양희가 감정 소비를 하지 않아도 되는 존재로 다가올 정도였다. 


자신의 본심이 아닌 욱하는 심정을 쏟아낸 감정은 열병으로 이어졌다. 그렇게 며칠을 아팠던 필용은 양희의 시골집을 찾아갔다. 하지만 그곳에서 본 양희 가족의 모습에 다시 한 번 화만 냈던 필용은 그렇게 완전히 이별할 수밖에 없었다. 무기력해 보이기만 하는 양희의 행동과 크게 다르지 않은 가족의 모습에 실망인지 모를 묘한 감정이 그를 압도했으니 말이다.


"선배. 사과 같은 거 하지 말고 이런 나무 같은 거나 봐요. 언제 봐도 나무 앞에서는 부끄럽지 않으니까. 비웃지 않으니까. 이런 나무 같은 거나 보라 구요"


사과를 한 필용에게 양희가 한 말이다. 그 말 속에 왜 더는 사랑할 수 없는 지 모두 들어 있다. 부끄러워하고 비웃는 감정이 사랑일 수는 없다. 그런 감정의 소비로 인한 상처는 그렇게 깊은 자국을 남길 뿐이다. 돌아오는 길에 서럽게 우는 필용은 그 감정을 깨달았을까?

996E24385BBACB6825


필용이 느낀 감정은 양희와 더는 함께 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한 것이었다. 이후 그가 살아왔던 삶은 양희를 만나기 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니 말이다. 양희도 변하지 않았지만 필용도 변할 수 없었다. 그렇게 변할 수 없어 몰락할 수밖에 없었을지 모르지만 말이다. 


19년이 지나 양희를 찾은 필용은 정말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었을까? 그저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기심이 만든 몸부림일 뿐이었다. 사랑이라는 열병은 존재했지만 타인을 배려하는 사랑을 해보지 못한 자는 그 뒤늦은 깨달음에 울 수밖에 없다. 진정한 사랑을 모른 자는 외로울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카뮈의 <이방인>을 보는 듯한 감정을 많은 이들도 느꼈을 듯하다. 너무 한낮에 이뤄진 연애는 그렇게 민낯만 적나라하게 드러낸 채 익어가지 못했다. 낮과 밤을 보낸 사랑이라면 보다 단단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어설프고 설 익은 사랑은 그렇게 감정의 실체만 드러낸 채 자신을 돌아보게 만들었다.

990E7C385BBACB6B2E


태양 때문에 살인을 저지른 자의 무료함을 강렬하고 심도 깊게 담아냈던 카뮈와 남과 여의 첫 사랑과 19년이 지난 후 다시 만나 다시 그 감정을 다루는 방식은 다른 듯 유사하다. 그 지독할 정도로 밋밋해서 더욱 간절해지는 감정. 그 감정은 과연 허상일까? 아니면 무엇일까?


전형적인 속물 남성과 모든 것을 초월한 듯한 여성의 사랑이라는 감정. 그 쏟아내기 어려운 감정은 마침내 서로 앞에서 그 실체를 드러낸다. 그 감정이 솔직하게 드러나며 그들의 19년 만의 만남도 영원히 이별로 이어지게 된다. 그 지독할 정도로 담담해서 섬뜩하기도 한 이들의 사랑은 그래서 더욱 매력적이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

미국생활 - 요리, 맛집, 문화생활

맛집,TV 등 사소한 일상 얘기

  1. 휘성 에이미 녹취록 공개 뒤집힌 진실 파문의 위험성

    에이미의 폭로로 한순간 파렴치한 존재로 전락했던 휘성이 진실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관심을 끌어보려던 추방된 외국인 에이미가 거짓 폭로를 통해 한 가수를 나락으로 추락하게 만든 사건이 되어버렸다. 논란은 수습되어가고 있지만 파장은 여전하다.   휘성...
    Date2019.04.20
    Read More
  2. 효린 학폭 논란 왜 진실 공방만 이어지나?

    연예인들의 과거사가 폭로 형식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잔나비 멤버인 유영학이 과거 학폭 사실이 폭로되며 탈퇴했다. 논란이 채 가시기도 전에 가수 효린이 중학교 시절 3년 동안 자신과 친구들을 괴롭혔다는 주장이 온라인에 퍼졌...
    Date2019.05.26
    Read More
  3. 회사가기 싫어-오피스모큐멘터리로 풀어낸 직장인의 애환, 충분히 좋았다

    흥미로운 시도였다. 모큐멘터리는 낯선 장르는 아니지만 지상파 방송에서 제대로 도전을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대단한 도전이라 평해도 좋다. 익숙한 배우들이 나오지 않아 더욱 모큐멘터리로서 가치를 높였다. 다양한 통계 자료와 이를 바탕으...
    Date2018.10.24
    Read More
  4. 회사가기 싫어-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SNS은 인생의 낭비다

    IT 기술은 우리에게 편리함과 신세계를 열어주었다. 하지만 순기능만 존재할 수는 없다. IT 기술은 모든 자유를 억압하는 역기능도 존재한다. 자유를 주고 자유를 빼앗는 시대. 과학 진보의 시대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SNS는 소통의 도구이자 억압의 족쇄...
    Date2018.10.03
    Read More
  5. 회사 가기 싫어-워킹맘과 유리 천장에 우는 여성 직장인의 현실

    회사 가기 싫어하는 직장인들은 얼마나 될까? 회사 가고 싶은 직장인보다는 많다는 것은 분명하다. 살기 위해 일을 해야 하는 그들에게 회사는 그럴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는 곳으로 전락했다. 이런 선택지는 결국 회사에게도 손해일 수밖에 없다. 자발적 직원...
    Date2019.05.07
    Read More
  6. 회사 가기 싫어-우리 사회 존버 하는 회사원들을 위한 작은 위로

    다시 돌아왔다. 모큐멘터리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던 <회사 가기 싫어>가 다시 돌아왔다. 회사원의 비애를 다양한 통계를 바탕으로 드라마로 만들어낸 <회사 가기 싫어>는 많은 이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그런 그들이 파일럿을 넘어 본격적인 시즌제로 돌아왔...
    Date2019.04.09
    Read More
  7. No Image

    황하나 마약 논란 결국 다시 권력형 비리

    남양유업 오너 일가인 황하나가 마약 논란으로 시끄럽다. 어제 SK가 일원이 마약 혐의로 체포되었다. 다른 재벌가 자제들도 마약 혐의를 받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마약 청정국이라는 이야기는 이제 옛말이 되었다. 마약 밀수와 투약이 일상이 된 것...
    Date2019.04.01
    Read More
  8. No Image

    황금알 낳는 용암해수, 산업화에 성공하다

            황금알 낳는 용암해수, 산업화에 성공하다 제주 자연의 천연 자원을 활용한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제주도에는 9천 여 종에 달하는 동식물과 농수산물은 이루 말할 것도 없지만 무엇보다도 생명수인 ‘물’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
    Date2019.12.10
    Read More
  9. 황금돼지띠 제주도의 해돋이 명소는 어디?

            제주도의 새해 해돋이 특별함이 있다는데 어디가 좋을까 "벅찬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제주도의 일출명소" 이제 2018년도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이제 차분히 지난 일 년을 돌아보고 벅찬 새해를 맞이해야 하는 시점이기도 한데요, 해를 넘기는 시점에 ...
    Date2018.12.28
    Read More
  10. 환절기에 가면 좋을 서귀포 옹심이 칼국수 맛집

            환절기에 가면 좋을 서귀포 옹심이 칼국수 맛집 “황토기와집, 옹심이 칼국수와 파전이 최고!”  제주시내와 서귀포시내는 먹거리들이 골고루 풍부하지만 외각지로 빠지면 매우 한정적인 게 제주의 현실이기도 합니다. 특히 관광지 인근은 제주도민들이...
    Date2019.03.26
    Read More
List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71 Next
/ 71

INFORMATION

CONTACT US

이메일 : info@miju24.com

업무시간 : AM 08:00 ~ PM 18:00

www.miju24.com

Copyright 2009~ Miju24.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