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집안에 아픈 사람이 하나 있으면 가족 모두가 힘들 수밖에 없다. 환자를 돌보는 몫은 온전히 가족들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생업을 포기하고 오직 아픈 가족을 돌보기 위해 모든 것을 다 내던져야 하는 삶은 모두에게 힘겨워질 수밖에 없다. 아픈 사람돠 이를 바라보고 간병해야 하는 이들 모두 말이다.


간병 살인 부르는 현실;

사회 시스템 부재가 낳은 고통, 보다 인간다운 삶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6번째 <거리의 만찬>에서 만난 이들은 간병인이었다. 간병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을 가진 이들이 아닌 치매에 걸린 가족을 보살피는 이들의 삶이었다. 어머니가 혹은 남편이 어느 날 갑자기 쓰러져 기억을 잃어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가족은 아픈 이를 위해 자신의 삶마저 포기해야 했다.

9949E5505C1DA53C18


짧게는 2~3년, 길게는 10년이 훌쩍 넘는 시간 치매에 걸린 어머니 혹은 남편의 곁에서 24시간 함께 해야 하는 현실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 나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혹은 남편이기에 자신의 삶마저 포기한 채 그렇게 간병을 해야 하는 것이 과연 모두를 위한 행복일까?


치매에 걸리면 잠이 없다고 한다. 그렇게 깊은 잠에 들지 못하는 가족으로 인해 간병을 하는 이 역시 제대로 잠을 잘 수 없다. 잠들지 못하면 더 큰 병에 걸릴 수밖에 없다. 인간은 철인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잠자지 못하는 삶은 최악의 고통일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서울신문이 보도한 간병인들의 삶은 처참했다. '간병살인'이라는 너무 끔찍한 단어가 익숙하게 다가오는 이 삶은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 가족을 돌보기 위해 시작한 간병. 하지만 아무리 가족이라 해도 자신의 모든 것을 내던지고 간병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시간이 길어지면 질수록 간병인의 삶까지 피폐해지며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죽는 것이 더 행복한 환자와 그런 그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것도 쉬운 게 아니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극심한 고통을 참아내며 하루하루를 버티는 것은 모두를 고통으로 이끌 뿐이다. 


사회 복지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우리 사회에서 노후의 삶은 모두에게 공포로 다가온다. 돈 많은 이들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겠지만, 가난한 이들에게 나이가 든다는 것은 그 무엇보다 고통스럽고 불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노동력도 하락하고, 일자리마저 없는 노인의 삶은 피폐할 수밖에 없다.


건강한 노후라면 돈이 없어도 어떤 일이라도 해서 살아갈 수 있지만, 아픈 노인의 삶은 자신 만이 아니라 가족 모두를 힘겹게 만든다. 아픈 아내와 장애를 가진 아이. 모든 것을 가족의 고통을 책임지는 아버지의 삶을 누가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런 남편을 위해 자신을 죽게 해 달라는 아내의 애원. 


가족들의 청원으로 집행유예로 풀려난 남편은 이제 장애를 가진 아이의 아버지가 되어 24시간 딸을 보호한다. 그의 삶은 병든 가족을 보살피는 삶으로 점철되어 버렸다. 과연 이게 정상적인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누구도 행복할 수 없는 이 고통의 시간을 온전히 개인의 몫으로 돌려야 하는 것일까?


사방이 지옥인 상황에서 40% 이상은 간병 살인에 노출되고 그렇게 친족 살인이라는 멍애를 쓴 간병인 중 35% 집행유예로 풀려난다. 친족 살인이라는 엄청난 살인에도 집행유예로 풀려나는 이유는 그만큼 간병인의 삶이 힘들다는 것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국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요양원은 2%에 불과하다. 절대 다수는 개인이 운영하는 요양원이다. 그 요양원이 마지막 보루가 된 상황에서 믿을 수 없는 삶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요양원에서 학대를 받고 사망하는 일들까지 이어지는 현실 속에서 편하게 요양원으로 보낼 수는 없으니 말이다.


요양원에 부모를 모신다는 것 자체에 죄책감을 가지는 사회는 문제다. 병든 가족은 가족이 알아서 모시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도 문제다. 효를 앞세워 모든 가족들이 고통의 구렁텅이에서 함께 휘둘리는 것이 당연하다는 사회적 함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99F85F505C1DA53C1A


무조건 효를 앞세워 가족들이 모든 것을 포기하고 돌봐야 한다는 문화 자체가 변해야 한다. 아픈 가족을 위해 가족 모두의 삶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삶을 살며 보살필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하다. 재가 요양 서비스가 존재하지만 하루 3시간 정도가 전부인 상황에서 간병은 요원하기만 하다.


일본이 최근 시도하기 시작한 간병도 출산 휴가와 같이 유급 휴가로 이어져야 한다. 왜 아픈 가족이 있다는 이유로 가족 전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치해야 하는가? 국가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간병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요양원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아픈 사람으로 인해 가족 자체가 무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더는 아픈 가족을 위해 모두가 삶을 포기하지 않도록 사회가 나서야 할 때다. 간병 살인이 더는 일상이 되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주는 나라가 진정한 국가일 것이다. 사회 복지를 무슨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부도덕한 행위처럼 묘사하는 자들이 국회에 남겨져 있는 한 이 고통의 고리는 모든 가족을 힘겹게 만들 뿐이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

미국생활 - 요리, 맛집, 문화생활

맛집,TV 등 사소한 일상 얘기

  1. 거리의 만찬 6회-우리가 사랑할 수 있는 시간 간병 살인을 논하다

    집안에 아픈 사람이 하나 있으면 가족 모두가 힘들 수밖에 없다. 환자를 돌보는 몫은 온전히 가족들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생업을 포기하고 오직 아픈 가족을 돌보기 위해 모든 것을 다 내던져야 하는 삶은 모두에게 힘겨워질 수밖에 없다. 아픈 사람돠 이...
    Date2018.12.21
    Read More
  2.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7회-현빈과 박신혜의 재회는 어떤 의미일까?

    그라나다에서 기적과 지옥을 모두 맛봤던 진우가 한국으로 돌아온 지 1년이 지났다. 여전히 사라진 채 돌아오지 않는 세주가 만든 게임은 테스트를 거치며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AR게임의 극단적 재미를 가진 이 게임이 그라나다만이 아니라 한국을 중심...
    Date2018.12.22
    Read More
  3. 그것이 알고 싶다-거제 학교 폭력 사건에 분노하는 이유

    학교 폭력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광폭화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친구들끼리 싸우는 수준을 벗어났다. 여러 명이 한 명을 집단 구타하고 죽음에 이르도록 하는 현재의 상황은 단순한 친구들끼리 다툼으로 볼 수 없는 이유다. 거제...
    Date2018.12.22
    Read More
  4.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8회-찬열과 조우한 현빈, 반격의 시간은 찾아왔다

    사라진 세주는 게임 안에 존재했다. 물론 어딘가 숨어 있을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게 완벽하게 자신을 숨길 수 있다는 것도 의문이기는 하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진우가 그토록 사력을 다해 레벨을 끌어올려 마스터인 세주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되었...
    Date2018.12.23
    Read More
  5. 땐뽀걸즈-꿈을 포기한 박세완 삶의 무게와 행복의 상관관계

    꿈을 스스로 포기해야 하는 삶. 어쩌면 가장 불행한 삶일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 누구나 꿈을 꾼다. 커서 뭐가 되고 싶다는 꿈들을 꾸며 살아가지만 그 꿈을 이루고 사는 이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래서 꿈이라고 부르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꿈을 놓...
    Date2018.12.24
    Read More
  6. 땐뽀걸즈 종영-박세완과 친구들의 절망과 도전, 어른의 역할 보여준 김갑수와 김선영

    8부작으로 짧게 준비된 드라마 <땐뽀걸즈>가 종영했다. 실제 거제여상 땐뽀반 아이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담은 이야기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웠다. 대단한 이야기는 없다. 그 나이 대면 누구라도 한번 쯤은 경험해봤을 법한 좌충우돌 청춘기를 잘 담아냈다....
    Date2018.12.25
    Read More
  7. 허니문 하우스, 10년 만에 문을 연 제주 최고의 낭만 명소

            허니문 하우스, 10년 만에 문을 연 제주 최고의 낭만 명소 “수십 년 전 제주 최고의 인기 명소” “과거 CF촬영의 성지”   80~90년대에 서귀포와 인연이 있던 분들 상당수는 ‘허니문하우스’의 추억을 간직하고 있을 겁니다. 허니문하우스는 파라다이스...
    Date2018.12.26
    Read More
  8. 붉은 달 푸른 해 19~20회-개장수 처형, 김선아 습격한 범인은 누구인가?

    충격적인 마지막이었다. 자신의 죄를 덮기 위해 하나를 데려간 개장수 고성환은 '붉은 울음'에 의해 처형 당했다. 다른 곳도 아닌 등에 시를 남긴 범인은 과연 누구일까? 하나의 전화를 받고 현장에 도착한 우경을 마취시킨 범인은 과연 누구일까? 전혀 등장...
    Date2018.12.26
    Read More
  9. 이필모 서수연 결혼으로 완결된 연애 예능의 종결 혹은 새로운 시작

    이필모가 예능에서 만난 여자와 결혼을 한다. 연애 프로그램은 수없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모두 비즈니스를 위해 모여 잠깐 그럴 듯하게 포장만 하고 끝나는 것이 전부였다. 일부는 방송 후 사귀는 단계까지 가기는 했지만, 방송을 하면서 결혼까지 이어지는 ...
    Date2018.12.27
    Read More
  10. 붉은 달 푸른 해 21~22회-드러난 붉은 울음 김선아는 범인이 아닌 것일까?

    아동학대 심각성을 이토록 잔인하게 밀도 있게 그린 드라마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붉은 달 푸른 해>는 무척이나 중요하다. 어른들이 봐야 할 어린이를 위한 필독서와 같은 의미로 다가온다. 아이에 대한 학대가 얼마나 비참한 결과를 불러올 수밖...
    Date2018.12.27
    Read More
List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71 Next
/ 71

INFORMATION

CONTACT US

이메일 : info@miju24.com

업무시간 : AM 08:00 ~ PM 18:00

www.miju24.com

Copyright 2009~ Miju24.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