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아동학대라는 소재는 민감하다. 쉽게 접근하기도 어렵지만 이를 제대로 만들어내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붉은 달 푸른 해>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걸작이었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밸런스를 잡아가며 끝까지 주제 의식을 잃지 않은 작가의 힘은 그래서 위대하게 다가온다.


붉은 달 푸른 해;

묵직한 주제 의식을 추리 극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풀어낸 걸작



붉은 울음은 우경의 선배이자 은호의 친 형인 정신과 의사 태주였다. 물론 혼자 한 일이 아닌 같은 생각을 가진 이들의 집합체였다. 혼자가 아닌 다수가 '붉은 울음'이었기에 수사망을 벗어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다가온다. 범인이지만 잡아야 하는지 고민하게 하는 범죄에 대한 울림은 그래서 크게 다가온다.

996EB83F5C3FE0563E


마지막 회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붉은 달 푸른 해>는 주제 의식을 놓지 않았다. 그 흔한 로맨스는 존재하지도 않았다. 주요 인물들의 러브 라인을 앞세워 어설픈 이야기 양산에 주력하는 여타 드라마와는 결이 달랐다. 아동 학대라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며 너무 앞서가지 않은 채 적정 수준에서 균형을 잡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평생 동생이라고 생각하며 살았던 세경이 사실은 새 엄마가 낳은 딸이었다. 녹색 아이는 바로 세경이었고, 그 아이가 등장하며 모든 이야기는 시작되었다. 알 수 없는 기묘한 현상에 우경은 힘들었지만, 결과적으로 내면의 모든 문제를 풀어내는 이유가 되었다.


우경의 눈에만 보였던 녹색 아이는 친 여동생이었다. 그리고 그 죽음을 애써 외면하기 위해 기억을 봉인해 버린 우경은 다른 아이를 동생이라 믿고 살았다. 아버지는 그런 우경에게 가짜 기억을 심어주었다. 그렇게 조작된 기억을 가지고 살아가던 우경은 녹색 아이를 만나며 자아를 찾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했다.


어린 세경은 아동 학대를 받은 아이였다. 깨끗한 것을 좋아했던 새엄마는 어린 세경을 학대했다. 자신은 그저 아이를 키우면서 가끔 어쩔 수 없이 때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나온 결과라고 웅변한다. 하지만 우경의 아버지가 세경의 죽음을 은폐한 이유는 몸 여러 곳에 선명하게 남겨진 흔적들 때문이었다. 


옆에서 잠을 자던 동생은 사망했다. 그 끔찍한 기억을 어린 우경은 담을 수 없어 스스로 기억을 봉인해 버렸다. 새엄마가 존재한다는 기억마저 지워버린 우경은 그렇게 아버지가 만든 기억을 자신의 것이라 생각한 채 살아왔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그녀가 아이를 상담하는 직업을 가지게 된 것은 우연보다는 필연이었다.


'붉은 울음'에 의해 죽어간 이들은 잔인한 아동 학대 가해자들이다. 그런 그들을 과연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태주가 모든 사실을 인정하며 형사인 지헌에게 이런 자들을 용서할 수 있겠냐고 되묻는 장면에서 시청자들 역시 동일한 질문에 답을 했을 것이다.

99FD873F5C3FE05709


많은 이들은 '붉은 울음'의 행동을 옹호할 수 있다. 아동 학대가 사회적 문제로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다가오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우리 주변에는 아동 학대가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여전히 법의 심판은 미미하니, 많은 이들은 분노한다.


"용서 못하지만 심판도 못한다" 태주의 질문에 지헌이 한 답변이다. 법치국가에서 법 위에 다른 것이 군림할 수는 없다. 용서할 수 없는 범죄자를 심판하는 것은 법이다. 법이 존재하는 한 개인적인 복수는 그 역시 범죄가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당연한 답변이지만, 속 시원한 대답도 아니다. 


우경은 자신의 집 벽난로 바닥에서 녹색 아이 세경을 발견했다. 사라진 시체를 찾으며 새엄마의 범죄 사실은 드러났지만, 어떤 처벌도 할 수 없었다. 공소시효가 지난 사건에 대해 그 어떤 처벌도 할 수 없었으니 말이다. 새엄마가 죽였을 수도 있고, 아이가 다른 이유로 사망했을 수도 있다.


아버지는 이를 숨기고 벽난로를 만들어 그 안에 숨겼다. 자신의 아이를 벽난로에 숨기고 그곳에서 살았다는 사실에 우경은 분노했다. 이미 사망한 아버지와 공소시효를 넘겨 그 어떤 처벌도 받을 수 없는 새엄마. 우경으로 인해 새엄마인 진옥은 마음의 짐까지 내던질 수 있었다.


평생을 옥죄던 공포와 죄책감을 벗어낸 진옥은 그 어느 때보다 편안하고 행복하다. 자신의 친딸이 곁에 있고, 손녀딸은 여전히 자신을 따른다. 법의 심판도 받지 않은 채 그렇게 편안한 노후를 보내는 새엄마를 보면서 우경은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붉은 울음'의 부추김에 넘어가는 듯했던 우경은 지헌과 함께 그를 잡기 위해 함정을 팠을 뿐이었다. 우경 역시 모범 답안이었던 지헌과 같은 생각이었다. 용서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스스로 심판할 수는 없었다. 자신의 딸이 좋아하고 세경이란 이름으로 산 송이도 행복한 상황에서 우경이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99EA5A3F5C3FE0580A


태주가 우경에게 던진 "살아 있음을 용납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은 평생 그녀가 짊어지고 가야 할 숙명이다. 우리의 마음 속에는 '붉은 울음'과 우경, 지헌과 같은 존재가 함께 한다. 한 편에서는 함무라비 법전처럼 대응하고 싶기도 한다. 하지만 법치주의 국가에 살고 있기에 법의 심판을 맡겨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하기도 한다.


법과 현실의 괴리가 심해지면 심할 수록 '붉은 울음'이 세상에 튀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적절한 수준으로 법이 집행되지 못하면 우리 사회에서 수많은 '붉은 울음'들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아동 학대의 심각성을 부각 시키며 이를 어떻게 대응하고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하게 하는 <붉은 달 푸른 해>는 값진 화두를 다시 던졌다.


아동 학대를 막기 위해서는 단 하나의 문제 해결로 완성될 수 없다. 사회 전체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시스템으로 아동들을 보호하는 방법을 찾지 않으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만연한 아동 학대 속에서 드라마가 던진 화두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이는 이제 우리 모두의 몫이다. 묵직한 주제 의식를 추리 형식으로 담아낸 <붉은 달 푸른 해>는 민감한 주제를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보여주었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

미국생활 - 요리, 맛집, 문화생활

맛집,TV 등 사소한 일상 얘기

  1. 붉은 달 푸른 해 21~22회-드러난 붉은 울음 김선아는 범인이 아닌 것일까?

    아동학대 심각성을 이토록 잔인하게 밀도 있게 그린 드라마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붉은 달 푸른 해>는 무척이나 중요하다. 어른들이 봐야 할 어린이를 위한 필독서와 같은 의미로 다가온다. 아이에 대한 학대가 얼마나 비참한 결과를 불러올 수밖...
    Date2018.12.27
    Read More
  2. 붉은 달 푸른 해 23~24회-김선아가 아닌 차학연이 붉은 울음이었나?

    착한 사람 얼굴을 한 인물이 '붉은 울음'이라는 말은 사실이었다. 다만 아이들이 좋아하던 방송에 나왔던 캐릭터라는 것이 문제였다. 하지만 이 발언에는 이중적인 의미가 있었고, 착한 사람 얼굴을 한 은호가 사실은 '붉은 울음'이었다고 드라마는 이야기하...
    Date2019.01.02
    Read More
  3. 붉은 달 푸른 해 25~26회-차학연이 김선아의 기억을 봉인하려 했던 이유

    충격적인 전개가 아닐 수 없다. 가능성이 있었던 은호가 '붉은 울음'으로 밝혀지며 폭풍 전개가 이어졌다. 아직 4회 분량이 남은 상태에서 붉은 울음을 퇴장 시키는 작가의 강단이 돋보이는 전개였다. 자신이 버려진 곳에서 스스로 자신을 던져버린 은호는 왜...
    Date2019.01.03
    Read More
  4. 붉은 달 푸른 해 27~28회-차학연이 숨기고 싶었던 진짜 붉은 울음 드러나는 진실들

    여전히 끝나지 않았다. 여전히 꼬리를 무는 의문들은 이어지고 있다. '붉은 울음'이라 여겨졌던 은호가 사망했다. 하지만 정말 그가 '붉은 울음'일까 하는 의구심은 사실로 드러났다. 지헌을 공격한 이는 따로 있었고, 은호의 형은 우경의 선배인 윤태주였다....
    Date2019.01.09
    Read More
  5. 붉은 달 푸른 해 29~30회-김선아가 연 판도라 상자 충격적 결말만 남았다

    충격이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도 충격일 수밖에 없다. 우경의 새 엄마가 자신의 친동생인 세경을 죽인 범인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현재 깊은 잠에서 깨어난 여동생은 세경이 아니라 새 엄마가 낳은 딸이었다. 우경이 7살이던 시절 과연 그 집에서...
    Date2019.01.10
    Read More
  6. 붉은 달 푸른 해 3, 4회-김선아 위로하는 녹색 옷을 입은 소녀의 정체와 의미

    우는 우경의 얼굴을 만져주는 녹색 옷을 입은 아이. 그들은 그렇게 만났다. 바라보기만 하던 녹색 옷을 입은 아이가 우경에게 다가섰다. 그리고 접촉이 일어났다는 것은 이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사망한 남자 아이의 여동생인지 ...
    Date2018.11.22
    Read More
  7. 붉은 달 푸른 해 31~32회-아동학대란 묵직한 주제 의식으로 만든 걸작

    아동학대라는 소재는 민감하다. 쉽게 접근하기도 어렵지만 이를 제대로 만들어내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붉은 달 푸른 해>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걸작이었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밸런스를 잡아가며 끝까지 주제 의식을 잃지 않은 작가의 ...
    Date2019.01.16
    Read More
  8. 붉은 달 푸른 해 5, 6회-중요하게 등장한 붉은 눈물 그는 누구인가?

    궁금증을 유발하는 식으로 극은 이어진다. 뭔지 알 수 없는 그 무언가가 어디론가 이끌고 있다. 그게 무엇인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짙은 안개에 쌓인 채 촉각으로 찾아가는 그 무엇. 하지만 그 길목마다 적혀 있는 시 구절들은 더욱 기묘함을 자아내게 한다....
    Date2018.11.28
    Read More
  9. 붉은 달 푸른 해 7, 8회-미라 사건 뒤 조금씩 드러나는 차학연의 존재감

    미라가 된 것은 아이가 아닌 여인이었다. 그 여인의 정체는 쉽게 밝혀졌지만 여전히 의문들만 가득한 상태다. 명확한 것은 죽음과 시에 이어 이번 사건들 속에 학대 받는 아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세 가지 옵션이 존재하는 연쇄살인사건. 하지만 타살을 ...
    Date2018.11.29
    Read More
  10. 붉은 달 푸른 해 9~10회-범인은 차학연 아닌 김선아는 아닐까?

    미라 시신 목격자가 나왔다. 그리고 차 안에서 사망한 소라 아빠의 죽음도 타살이라 주장하는 이가 나왔다. 그동안 자살로 여겨졌던 사건들이 모두 타살일 가능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사건들과 연결된 모든 이들은 범인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목...
    Date2018.12.05
    Read More
List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 71 Next
/ 71

INFORMATION

CONTACT US

이메일 : info@miju24.com

업무시간 : AM 08:00 ~ PM 18:00

www.miju24.com

Copyright 2009~ Miju24.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