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Views 457 Votes 0 Comment 0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홍석천이 경리단길과 이태원의 상권을 살리기 위해 올린 글이 가짜뉴스가 되어 떠돌고 있다.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 황당한 것은 홍석천이 최저임금이 인상되어 어쩔 수 없이 폐업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홍석천이 올린 인스타그램에는 그런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기사를 보면 이상한 점들이 많다. 홍석천이 지난 2018년 10월 2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을 보면 최저임금 인상 탓은 존재하지 않는다. 홍석천과 인터뷰를 했다는 매체는 최저임금이 올라 직접적으로 가게 문을 닫는 이유가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10명의 종업원이 12시간 일하던 것이 최저임금이 올라 8명이 10시간 밖에 운영할 수 없어 문을 닫게 되었다는 것이다.

99E0E94C5C41A6C00E


홍석천이 정말 종업원들의 임금을 인상하는 것이 부담이 되어 가게 2곳을 문 닫게 되었다면 닫아야 한다. 그 정도 임금 인상도 힘든 가게라면 더 이상 존속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언제까지 노동자의 피를 빨아가며 장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그게 아니라 하나의 이유 중 임금 인상도 존재한다고 언급하는 수준이었다면 이는 의도적 기사로 볼 수밖에 없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들어가는 경리단길. 임대가 붙은 가게들이 무척 많아졌다. 경리단길은 이태원 다음으로 거리 자체가 브랜드가 될 정도로 상권이 급격히 좋아졌고 많은 미디어와 사람들의 관심을 갖던 대표적 동네 상권이었다. 그럼 지금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첫 번째 모델이자. 건물주의 과도한 월세 인상과 턱없이 부족한 주차 공간 그로 인한 단속의 연속 젊은 청년들의 아이디어와 열정이 가득했던 가게들은 이미 떠나버렸거나 망해버렸거나 어쩔 수없이 문을 열고 버티는 가게가 매우 많아졌다"


홍석천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문제의 핵심은 젠트리피케이션과 주차 공간 문제라고 언급하고 있다. 골목이 유명해지며 과도하게 월세 인상이 이어진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감당 가능한 인상폭을 넘어서면 당연히 가게 운영은 불가능해진다.


경리단길 만이 아니라 언론에 언급되었던 거의 대부분의 상권은 과도한 월세 인상으로 붕괴되었다. 건물주들의 말도 안 되는 욕심이 공멸로 이끌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이를 막지 못한다면 절대 상권이 살아나는 일은 존재할 수 없다. 그 어떤 누구도 살인적인 임대료를 감당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과도한 임대료 인상과 최저임금인상 중 어떤 요인이 폐업의 절대적인 이유가 될 수 있을까? 홍석천이 후자로 인해 식당을 더는 할 수 없다면 가게 문을 다는 것이 정답이다. 과도한 임대료는 낼 수 있지만, 노동자들 월급 몇 십만 원 오르는 것은 줄 수 없다면 이는 존재할 이유가 없으니 말이다. 


한국감정원 집계를 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경리단길 임대료 상승률인 서울 지역 평균인 1.73%보다 6배 이상 높은 10.16% 상승했다고 한다. 이 정도 상승 폭이면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감당할 수가 없다. 이 정도 상승폭에 어떤 방법으로 버틸 수 있다는 말인가?


이 기간 동안 오른 노동자의 최저임금이 더 부담이 되었다면 이는 말도 안 되는 궤변일 수밖에 없다. 임대료 상승이 현재보다 반만 올랐어도 최저임금 정도는 충분히 감당하고도 남을 정도가 되니 말이다. 최저임금으로 상권이 망해간다는 주장은 말 그대로 조작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엄청난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이태원의 공실률은 21.6%나 된다고 한다. 비싼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어 나간 업주들이 이태원 가게 100개 중 20개가 넘는다는 의미다. 명동이나 종로, 강남대로의 6%~2%대 공실률을 훌쩍 넘어서는 수준이다. 강남의 경우 공실률을 줄이기 위해 임대료 현실화를 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고의 요지로 불리던 강남도 높은 임대료로 인해 모두가 떠났었다. 그렇게 젊은 사업자들로 인해 서울에 수많은 길들이 명소로 새롭게 떠올랐다. 값싼 지역을 찾아 독특한 상점을 내면서 지역이 살아났다. 지역이 살아나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다.


그렇게 다른 지역으로 옮겨 다시 활성화 시키면 또 다시 임대료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그렇게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난 지역은 어김없이 공실률이 치솟고 골목 상권은 망한다. 그 과정을 무한반복으로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이런 현상을 부추긴 것은 은행권의 과도한 대출도 한 몫 했다.


건물 하나 사는데 자기 돈보다 은행 대출이 더 많다. 그렇게 구한 건물에 임대료 상승이 시작되고 단기간에 은행 융자를 갚기 위한 무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모두를 궁지로 내몰 뿐이다. 메뚜기처럼 실력과 창의력 넘치는 사업가들이 값싼 지역을 활성화 시키면 은행을 끼고 건물을 사 모으는 자들은 어김 없이 그곳에 합류한다. 그게 현재의 서울 모습이다. 

992D5F4C5C41A6C03A


"아이디어는 나도 가게 사장들도 많이 갖고 있다 구청과 시청은 좀 더 직접적인 대화의 장을 만들고 힘을 합한다면 분명 나아질 것이다. 그런 노력이 일자리를 만들고 청년과 은퇴자들에게 꿈을 꾸게 하고 골목이 살고 동네가 살아나. 결국 경기가 나아질 것이다. 너무 작고 힘없는 나 한 사람이지만 이젠 정말 시작해봐야겠다 경리단살리기프로젝트 그리고 나아가 이태원살리기프로젝트도. 함께해 주실 분들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작은 시작이 거대한 변화를 만든다는 믿음으로. 도와 주십쇼 제발"


최저임금인상이 상권을 망친다는 주장은 수구 세력들의 일관된 주장이다. 하지만 과연 현재의 문제가 과연 최저임금인상으로 인한 결과인지 아니면 이런 말도 안 되는 임대료 상승이 주 이유인지 더 따져 봐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상권이 죽어가고 자영업자의 폐업이 늘어가는 이유 중에는 임대료 상승 만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의 변화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다. 회사의 회식 문화가 사라져가고, 외식 보다는 불러 먹는 소비가 급격하게 하나의 트랜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그저 최저임금인상으로 노동자 임금을 올려져 대한민국 경제가 망가지고 있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다.


최저임금인상은 최소한의 권리를 위한 노력의 결과일 뿐이다. 노동자 임금이 한 달 10여 만원 오르는 것이 가게에 부담이 될 정도면 노동자 임금이 오르지 않아도 운영은 힘들다. 그게 아니라면 값싼 노동력이 유일한 돈벌이 인 가게다. 노동자는 노예가 아니다. 정당한 임금을 받고 일할 권리가 있다. 다른 요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은 채 여전히 노동자 탓만 하는 프레임은 걷어 치워야 한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

미국생활 - 요리, 맛집, 문화생활

맛집,TV 등 사소한 일상 얘기

  1. 붉은 달 푸른 해 31~32회-아동학대란 묵직한 주제 의식으로 만든 걸작

    아동학대라는 소재는 민감하다. 쉽게 접근하기도 어렵지만 이를 제대로 만들어내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붉은 달 푸른 해>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걸작이었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밸런스를 잡아가며 끝까지 주제 의식을 잃지 않은 작가의 ...
    Date2019.01.16
    Read More
  2. 홍석천 폐업 최저임금 인상 탓하는 보도들의 황당함

    홍석천이 경리단길과 이태원의 상권을 살리기 위해 올린 글이 가짜뉴스가 되어 떠돌고 있다.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 황당한 것은 홍석천이 최저임금이 인상되어 어쩔 수 없이 폐업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홍석천이 올린 인스타그램에는 그런...
    Date2019.01.18
    Read More
  3. 거리의 만찬 10회-죽거나 다치지 않을 권리, 모든 노동자가 누려야 한다

    노동의 조건은 뭔가?너무 단순하다. 죽거나 다치지 않을 권리가 최소한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위험에 노출된 노동자들은 그 최소한의 권리도 부여 받지 못하고 있다. 구의역에서 19세 노동자는 홀로 일을 하다 사망했다. 사회는 분노...
    Date2019.01.18
    Read More
  4.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5회-현빈의 삶과 죽음은 게임 속 박신혜에 달렸다

    세주가 돌아왔지만 그는 아무런 힘이 되지 못했다. 그저 게임을 만든 괴짜 천재일 뿐 그 이상의 가치가 없었다. 게임 속 버그의 원인은 세주가 만든 엠마였다. 누나를 캐릭터로 만든 세주. 그런 게임 속 캐릭터가 게임 속에서 공격을 당하는 동생을 구하는 과...
    Date2019.01.19
    Read More
  5. 태운 주전자(냄비), 새 것처럼 닦아내는 꿀팁

            태운 주전자(냄비), 새 것처럼 한방에 닦아내는 꿀팁 “새까맣게 태운 스텐레스 용기 쉽게 닦아내는 방법”  하루가 다르게 건망증이 심해져서 정말 걱정입니다. 차물을 끓이려고 주전자를 올려놓고는 새까맣게 타들어가도록 잊고 있었답니다. 앉아서 ...
    Date2019.01.20
    Read More
  6.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6회-현빈의 생존 박신혜의 믿음 절반의 해피엔딩

    가상현실 게임을 주제로 한 드라마인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16회로 막을 내렸다. 새로운 소재를 다뤘다는 점에서 분명 용기 있는 시도였다. 하지만 드라마적인 재미는 중반을 넘어서며 힘이 떨어지기 시작해 아쉬움을 줬다. 합리적 결론을 내기는 했지만,...
    Date2019.01.20
    Read More
  7. SBS스페셜-끼니 반란 핵심은 FMD 식단이 아닌 한정된 시간 식사다

    과거 '간헐적 단식'을 방송해 화제를 모았던 그들이 다시 버전 업을 해서 돌아왔다. 이번에는 간헐적 단식만이 아니라 'FMD 식단'의 효능으로 업그레이드를 시켰다. 세포를 속여 먹으면서도 단식 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면 이는 신세계가 아닐 수 없으니 말...
    Date2019.01.20
    Read More
  8. 왕이 된 남자 5회-여진구 이세영의 서고 로맨스 단짠 사극의 시작

    이규는 광대 하선을 죽이고 글 왕 이헌으로 삼았다. 가슴을 칼로 찔린 하선은 한동안 고통스러운 시간을 가져야 했다. 하지만 그 고통의 시간이 곧 광대에서 왕으로 변신하는 과정이었다. 역모를 한 도승지의 행동은 이제는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달콤 쌉...
    Date2019.01.21
    Read More
  9. 왕이 된 남자 6화-광인 여진구와 사랑에 빠진 여진구 숙명의 시작

    광인이 되어버린 왕 이헌과 성군이 되어가는 광대 하선이 저잣거리에서 마주쳤다. 광대 하선은 중전의 손을 잡았고, 이를 본 왕 이헌은 분노했다. 돌이킬 수 없는 이 상황은 결국 둘 중 하나는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하게 만든다....
    Date2019.01.22
    Read More
  10. 명품 저지오름이 34억을 들여 망가지고 있습니다

            명품 저지오름이 34억을 들여 망가지고 있습니다 “명품 오름 조성사업이 진행되는 저지오름에 가보니” “지금까지 지켜온 명품가치, 단 숨에 훼손될 위기”  명품 오름 조성사업이라는 명목으로 혈세 34억 원 투입된다는 이야기를 모 언론사를 통해 들...
    Date2019.01.23
    Read More
List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 71 Next
/ 71

INFORMATION

CONTACT US

이메일 : info@miju24.com

업무시간 : AM 08:00 ~ PM 18:00

www.miju24.com

Copyright 2009~ Miju24.com. All rights reserved.